1. 마찰 감소 :젖어 있거나 미끄러운 노면은 마른 노면에 비해 타이어와 도로 사이의 마찰이 적습니다. 이렇게 감소된 마찰로 인해 엔진의 동력을 도로로 전달하는 것이 더 어려워지고 결과적으로 견인력이 감소합니다.
2. 수막현상 :타이어와 도로 사이에 물층이 있을 때 수막 현상이 발생합니다. 이런 일이 발생하면 타이어가 노면과의 접촉이 상실되어 견인력과 제어력이 크게 저하됩니다.
3. 타이어 접지력 상실 :젖은 노면은 마찰 감소로 인해 타이어의 접지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. 타이어는 도로와의 접촉을 유지하고 접지력을 생성하기 위해 마찰에 의존합니다. 도로가 젖어 있으면 마찰력이 적어 타이어가 도로를 접지하기가 더 어려워집니다.
4. 부적절한 제동 :젖은 상태에서는 제동 거리가 크게 늘어날 수 있습니다. 견인력이 감소하면 타이어가 제동에 필요한 마찰을 생성하기가 더 어려워지기 때문에 차량이 정지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.
5. 가시성 손상 :습하거나 미끄러운 환경에서는 비, 안개 또는 조명 감소로 인해 가시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해 운전자가 전방 도로를 확인하고 잠재적인 위험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어려워져 사고 위험이 높아집니다.
6. 응답성 감소 :젖어 있거나 미끄러운 조건에서는 차량의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. 조향 및 제동 입력은 견인력 감소로 인해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수 있으며, 이로 인해 차량의 속도와 위치를 제어하기가 더욱 어려워집니다.
7. 차량 중량 :차량이 무거울수록 추진력이 더 강해 미끄러운 노면에서 제어하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 무게가 추가되면 속도를 줄이거나 방향을 바꾸려면 더 많은 견인력이 필요하며, 이는 견인력이 낮은 조건에서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.
젖어 있거나 미끄러운 도로에서 안전을 보장하려면 속도를 줄이고, 차간 거리를 늘리고, 갑작스러운 기동을 피하고, 조향, 제동 및 가속에 부드럽고 점진적인 입력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.